할 일 : 테이블을 생성 / PRIMARY KEY 설정 / column 설명 작성 / 엑셀파일 데이터 테이블에 적재
CREATE TABLE tbank_cus_mst
(
CUS_NO VARCHAR2(10 BYTE),
CUS_NM VARCHAR2(20 BYTE),
CUS_ID VARCHAR2(10 BYTE)
);
alter table tbank_cus_mst add constraint cus_pk primary key (cus_no);
COMMENT ON COLUMN tbank_cus_mst.cus_no is '고객번호';
COMMENT ON COLUMN tbank_cus_mst.CUS_NM is '이름';
COMMENT ON COLUMN tbank_cus_mst.CUS_ID is '고객ID';
commit;
tibero는 oracle과 문법이 비슷하다.
테이블을 생성
CREATE TABLE [table명] ( [column명] [데이터 타입과 크기] ...);
PRIMARY KEY 설정
테이블 만든 후에 기본키 설정하기
ALTER TABLE [table명] ADD CONSTRAINT [pk명] PRIMARY KEY ([PK에 사용할 column명]...);
pk명은 임의로 설정해주면 되는걸까? 알아봐야지
column 설명 작성
COMMENT ON COLUMN [table명].[column명] is '설명';
엑셀파일로 주어진 데이터 tbAdmin에서 적재하기
tbAdmin에서 상단바에 있는 Tool - ExpImp
데이터를 적재할 table이 있는 connection 선택
Import선택하고 Source file과 Destination table 선택해주기
Source File을 찾을 때 모든 파일(All filss(*.*))보기로 검색해야 csv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excel파일을 csv(UTF8로 설정해서 csv파일로 변경했는데 엑셀파일로 해도 되는지는 추후 확인해볼 예정
예시로 고객 관련 table에 data를 적재한다고 할 때
왼쪽은 tibero에 있는 table의 column이고 오른쪽은 엑셀파일에 저장된 data의 column이다.
데이터를 삽입할 테이블(destination table)과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엑셀(source file)을 일치시켜주면 데이터를 적재할 수 있다.
* 첫번째 행 무시하고 데이터 삽입하기 *
두 개를 맞춰주면 아래에 여러 설정이 있는데 엑셀파일의 첫번째 행은 구분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적재할 때는 무시해줘야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파일도 첫번째 행에 column명이 있기 때문에 Ignore the first line 설정을 체크 해준다.
Start Importing 버튼을 눌러주면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적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이블을 생성할 때 같이 기본키를 설정해도 된다.
CREATE TABLE [table명]
(
[column명] [데이터타입과 크기],
...
CONSTRAINT [pk명] PRIMARY KEY ([PK에 사용할 column명]...);
);
테이블 명 수정하고 싶을 때
ALTER TABLE [table명] rename to [새로 설정할 table명];
column 설정 변경
ALTER TABLE[테이블명] MODIFY [column명] 설정;
테이블 설명 작성해주기
COMMENT ON TABLE [table명] is '설명';
'프로젝트 하면서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bero] Unable to open a session/Not connected to the server (0) | 2021.05.24 |
---|---|
[tibero6] 기동 실패/shared memory segment with the same key already exists/no space left on device (1) | 2021.05.15 |
[error] Error Code: 1046 (2) | 2020.09.23 |
[MySQL 에러 : 1175] delete, update 할 때 (0) | 2020.08.11 |
[ mac os ] mariadb install (0) | 2020.08.04 |
댓글